반응형
ERWIN 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할때 필요로 했던 설정이다.
1. 표기방식
Menu > Model > Model Properties
- IE (Information Engineering) : 정보공학표기방식. 일반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
- IDEF1X (Integration DEFinition for Information Modeling) : 미 국박성 프로젝트 표준한 표기방식
일반적으로 IE 표기방식을 제일 많이 사용한다.
2. Model Naming Options
Menu > Tools > Names > Model Naming Option
기본적으로 위 Name Mapping 탭에 매크로 설정은 꼭하고 시작하자. 아래는 그 동안의 구글링을 통해 지금까지 꾸준히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설정이다. 오브젝트 타입에 Key Group to Index 에 아래 코드를 붙여넣는다.
%If(%==(%Substr(%KeyType,1,2),IE)){IX}%If(%==(%Substr(%KeyType,1,2),AK)){UIX}%If(%==(%KeyType,PK)){PK}_%TableName%If(%Not(%==(%KeyType,PK))){_%Substr(%KeyType,3,1)}
3. Pre & Post Scripts
Menu > Database > Pre & Post Scripts > Model Level
- "New" 버튼으로 신규 스크립트 추가
- Code 탭에 스크립트 넣기
이 스크립트 MySQL 기준으로 테이블에 논리 엔티티명을 적용. SQL Server 에서 자동증가 설정인 IDENTITY 를 AUTO_INCREMENT 키워드로 변경하며, 컬럼명에 논리 속성명을 일괄적용 시키는 스크립트이다.
%ForEachTable() {
ALTER TABLE %TableName COMMENT = '%EntityName';
%ForEachColumn() {
%Decl(NullOption)
%If(%==(%Substr(%ColumnNullOption,1,8),IDENTITY)){%=(NullOption, AUTO_INCREMENT)}
%Else {%=(NullOption,%ColumnNullOption)}
ALTER TABLE %TableName CHANGE COLUMN %ColName %ColName %ColumnDatatype %:NullOption COMMENT '%AttName';
}
}
나는 일단 위 세가지 설정은 기본적으로 하고 모델링을 작성한다.
이 외에 구글링하면서 깔끔하게 정리가 잘되있는 포스팅을 같이 링크 합니다.
반응형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RWIN] 오브젝트및 속성 명 일괄적으로 대/소문자 변경 (0) | 2018.05.10 |
---|---|
[ER-WIN] Names Option (0) | 2016.10.25 |
memsql (0) | 2013.12.30 |
FreeSQLFormatter [SQL정렬] (0) | 2012.02.13 |
NoSQL (0) | 2011.01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