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자주 쓰는 명령어다 보니 타이핑도 싫고, 실 작업은 터미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정리한다.
데이터베이스 생성
데이터베이스 생성시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사용하게 된다. 이어서 바로 요약하자면
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;
USE 데이터베이스명;
"CREATE DATABASE" 까지 보면 그동안의 패턴과 비슷하지만 "utf8mb4" 에 주목해보자면 .. 설명이 너무 많아서 그냥 쉽게 그러려니 식으로 넘어가보면 이모지(Emoji)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면 하자. ㅋㅋ 😀 이런것처럼 ㅎㅎ 그래서 현재는 모든 데이터베이스 생성시에는 그냥 utf8mb4 로 생성하고 있다. 자세한 설명은 이 링크(https://blog.lael.be/post/917)에 자세하게 나와있다.
그리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했으면 사용자를 생성해서 권한부여를 해야한다. 그냥.. 지속적인 패턴임.
다음 스크립트에는 사용자 조회, 생성, 삭제, 권한부여로 정리했으니 용도맞게 사용하면 된다.
# Change Database (mysql)
USE mysql;
# Select User
SELECT Host, User, Passsword FROM user;
# Create
CREATE USER '계정'@'localhost' IDENTIFIED BY '비밀번호';
CREATE USER '계정'@'%' IDENTIFIED BY '비밀번호';
# Drop
DROP USER '계정'@'호스트';
# Grant
GRANT ALL PRIVILEGES ON 데이터베이스.* TO '계정'@'%';
# Refresh
FLUSH PRIVILEGES;
하지만 접근 범주나 권한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한 내용 확인 및 이해를 위해 구글링을 권장 드립니다.
반응형
'DataBase > Maria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RROR] 서비스 시작 안됨 mariadb.service start operation timed out. Terminating (0) | 2022.07.29 |
---|---|
참조키 추가시 에러 ([HY000][1025] Error on rename of ... errno: 168 "Unknown (generic) error from engine" ) (0) | 2022.03.18 |
MariaDB : 설치 (Download/Install) - Ubuntu (0) | 2021.10.05 |
MariaDB : 계정생성/삭제/권한 (0) | 2021.10.05 |
MariaDB/MySQL :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 (Dump) (0) | 2021.10.05 |
댓글